교류분석 상담사 자격이 필요한 이유
				
				
				교류분석은 종교지도자, 학부모, 교사, 기업 교육 , 코칭 카운슬러, CS 강사, HRD 영역에서 꼭 필요한데 그 이유는 타인을 상담하고, 
				계발시키고, 잘 지도하기 위해  사람의 겉마음과 속마음을 이해하고 상대방의 잠재력을 일깨워 주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. 
				또 교류분석은 CEO, 회사임원, 대학교수, 공직자, 목회자, 종교지도자, 사회복지사(인간행동과 사회복지실천), 교육자, 교사, 시설 종사자, 연구원, 
				전문강사, 간호사, 어린이 대상직종 관련자, 대학원 및 상담관련학과 학생, 상담종사자, 학부모, 예비부모에게도 꼭 필요한 자격입니다.
				
			
			
				
					
					
				
				
					| 심리상담영역 | 개인상담, 집단상담, 부부상담, 가족상담, 다문화상담, 중독상담, 군상담, 학교상담, 교정상담 등에 매유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. | 
				
					| 교육영역 | 학교 현장과 교육장면에서 교류분서그이 제 이론들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 관계, 적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에 대한 개입, 의사소통훈련, 자기주장훈련, 자기표현훈련, 대인관계증진훈련, 예비부모교육훈련, 부모교육훈련, 교사훈련, 서비스 증진 훈련 등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. | 
				
					| 조직영역 | 조직개발, 리더십훈련, 코칭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. | 
				
					| 기타영역 | 사회사업가, 경찰, 보호관찰기관이나 종교의 성직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교류분석이 응용됩니다. TA는 개인, 관계 그리고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를 필용로 하고 있는 어떤 방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. | 
			
			
				
				한국교류분석협회의 회원으로서 본회에서 실시하는 교류분석과정별 연수과정을 이수한 후 과정별 과제수행 및 자격시험(실기, 면접)을 합격한자에게 자격을 부여합니다.
				▶ 교류분석상담사 자격시험
				1. 시험 문항수 및 점수 : 총 50문항/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합격
				2. 교류분석상담사 시험장소와 시기 : 협회 홈페이지에 공지
				3. 자격의 유지 : 연회비납부, 학회참석, 보수교육이수
				
			
			
				
					
					
					
				
				
					| 교류분석상담사 자격종류
 | 자격조건 | 시험 및 과제 | 
				
					| 교류 분석사
 | 본회의 회원으로서 본회에서 실시하는 자격연수(양성과정 32시간)를 이수한 후 과정별 과제수행 및 자격시험(필기, 면접)의 합격자. -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2012-1416호 -
 | 1. Ego, Ok그램 조사 ·해석(30명 이상) 2. 드라마(분석) A4 3~4매
 | 
				
					| 교류분석 상담사
 | 본회의 회원으로서 실시하는 자격연수(양성과정 92시간)를 이수한 후 과정별 과제수행 및 자격시험(필기, 면접)의 합격자. -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2012-1415호 -
 | 1. Ego, Ok그램 조사·해석(50명 이상) 2. 자기변혁 1주일과제
 3. 개인상담 3회이상 1 case 슈퍼비젼
 4. 드라마(분석) A4 3~4매
 | 
				
					| 교류분석 상담전문가
 | 교류분석상담사 자격증 소지자로서 석사학위 소지자 또는 3년이상의 실무경험자나 본회가 인정하는 동등학력의 조건을 갖추고 본회에서 실시하는 자격연수(지도자양성과정 총 240시간)를 이수한 후 과정별 과제수행 및 자격시험(필기,면접)의 합격자. -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2012-1420호 -
 | 1. TA적용프로그램 1편 이상 2.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 5회기 이상,
 3 case (슈퍼비전 받은 사례)
 3. 약식 논문 1편.
 | 
				
					| 교류분석상담 수련감독전문가
 | 교류분석상담전문가의 자격증을 소지하고 관련분야의 박사과정수료 이상의 학력 또는 4년 이상의 실무경험자나 본회가 인정하는 동등자격의 소지자로서 관련분야의 논문 또는 저역서를 내었거나 본회가 실시하는 특별연수과정을 거쳐 자격시험(필기,면접)의 합격자. -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2012-1419호 -
 | 1. TA프로그램 실시관련 효과성 논문 1편 이상 2. TA 적용프로그램 1편 이상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