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해제: 접수연도와 무관하며, 과거 접수건에 대한 당해연도 해제건을 포함하고 있어 접수건 보다 많을 수 있음(例: ’20년에 접수하였으나 ’24년에 해제 → ’24년 해제로 계산)
※ 미해제: 계속해서 추적·수사중인 사건을 의미하며, 접수연도와 관계없이 실종발생 당해연도 기준으로 산출(例: ’20년에 발생하였으나 ’24년에 접수 → ’20년 미해제로 계산)
※ 미해제 통계는 통계산정 시점(’24.3.31.)에서는 미해제 상태이더라도 추적·수사를 통해 시간이 지나면서 해제되기 때문에 수시 변동함(접수, 해제 통계는 변동 없음)
※ 미해제 통계는 통계산정 시점(’24.3.31.)까지 접수되어 추적·수사중인 사건들을 포함하고 있어 최근 사건일수록 상대적으로 많을 수밖에 없으며,
통계산정 시점(’24.3.31.)의 미해제 현황을 확인하는 지표로써 의미는 있으나 연도별로 증감 추이를 비교·분석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님*
* ’24년 18세 미만 아동 미해제 72건을 ’23년 18세 미만 아동 미해제 25건과 비교하여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적절치 않으며,
’22년 18세 미만 아동 미해제도 당해연도 末에는 58건이었으나, 지속적인 추적·관리를 통해 ’24.3.31. 기준 10건으로 감소하였음
※ ’23년 실종아동등 미해제 통계도 지속적인 추적·관리를 통해 향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